* 해커스쿨 강의만화 기록_4(고등학교 단계) *
마지막으로 4편, 고등학교 단계입니다.
이번 편에는 cmd 상에서 ping 명령어를 통해 단말기 유무를 판별하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지식의 출처는 해커스쿨입니다. 감사합니다. 문제 될 경우 필히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컴퓨터 알아내기]
동일 네트워크 상 = 끝자리 하나만 다름
ex. 192.168.0.13 and 192.168.0.16 이런식(1~255)
cf) 192.168.0.1 과 같이 끝자리가 1은 거의 대부분! GateWay 로 쓰인다.
*** route 명령어 ***
Link =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ys9922&logNo=90069129492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.kr%2F
********************
[ping 반복 c코드]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i;
char cmd[40];
for(i = 1;i<=255;i++) {
sprintf(cmd, "ping 192.168.0.%d", i);
system(cmd);
}
}
+ 핑 한번때리는 옵션:-c 1
sprintf(cmd, "ping -c 1 192.168.0.%d", i);
+ grep 으로 걸러내기:|grep from -> 응답이 있는 것은 from 이라는 문자열이 들어가기 때문.
sprintf(cmd, "ping -c 1 192.168.0.%d|grep from", i);
[구체적인 조사]
운영체제, SSH와 같은 포트의 오픈여부?
TTL값도 알아야함.
TTL? Time To Live, 패킷의 유효시간.
TTL=3은 최대 3개의 라우터를 거쳐갈 수 있다.
TTL 값의 존재 이유? 영원히 돌아다니는 패킷을 방지하기 위해
윈도우의 TTL = 100~128
리눅스의 TTL = 50~64
SSH = 22 port
SSH를 사용한다? => 22번 포트가 열려있다.
X-windows = 6000번 퐅,
X-windows를 사용하지 않는다? => 6000번 포트가 닫혀있다.
-> telnet (대상의 IP주소) (포트번호)
열려있다?->허가됨
닫혀있다?->거부됨(refused)
ex.
> telnet 192.168.0.13 22
'보안 & 모의해킹 > 기타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db를 사용한 실행파일 디버깅하기 (0) | 2018.02.19 |
---|---|
해커스쿨 강의만화 기록_3 (0) | 2018.02.18 |
해커스쿨 강의만화 기록_2 (0) | 2018.02.18 |
해커스쿨 강의만화 기록_1 (0) | 2018.02.18 |